카테고리 없음
AI 팀 프로젝트, 협업을 살리는 문서화 전략 5가지
zmo
2025. 5. 11. 19:22
AI 팀 프로젝트, 협업을 살리는 문서화 전략 5가지
“기술보다 중요한 건 기록이고, 기록보다 중요한 건 공유다!”
🧭 왜 문서화를 해야 할까?
AI 프로젝트는 빠르게 움직이지만,
빠른 만큼 “왜 이렇게 됐는지”를 놓치기 쉽다.
- 누가 어떤 결정을 했는지 모른다
- 다시 보려고 했는데 정리가 안 돼 있어 찾을수가 없다
- 새로 들어온 팀원이 이해할 수 없다
그래서 문서화는 개인 작업 기록이 아니라
협업을 위한 대화의 최소 단위가 된다.
✏️ 실전에서 자주 쓰는 문서화 포인트 5가지
1. 📌 기능 설계 문서 (Notion, Google Docs)
항목 예시
기능 이름 | 사용자 요약 챗봇 |
목적 | 사용자의 긴 글을 요약해주는 AI 챗봇 구현 |
대상 사용자 | 콘텐츠 마케터, 작가 |
작동 흐름 | 사용자 입력 → GPT 요약 → 출력 |
핵심 질문 | “요약 기준은 사용자 설정 가능한가?” |
이슈 | 요약 길이 설정, 정확도 피드백 방법 |
✅ 핵심: “왜 이걸 만들었는가”부터 기록한다.
2. 📆 주간 업무 공유 (Notion 템플릿, Slack 스레드)
[5월 2주차 업무 공유]
- ✅ 완료한 일
- 프롬프트 설계 테스트 (요약 정확도 83%)
- API 연결 초기 세팅
- 🔄 진행 중
- 사용자 피드백 수집 폼 제작
- 디자이너와 UI 간단 정리
- 🧠 논의 필요
- GPT 출력 스타일 커스터마이징 여부
✅ 핵심: 매주 1~2줄씩만 정리해도 전체 맥락을 공유할수 있다.
3. 🧠 회의 요약 템플릿 (Slack, Notion)
항목 내용
📅 일시 | 2025.05.13 |
👥 참여자 | 기획자 A, 개발자 B, 디자이너 C |
📌 논의 주제 | 사용자 요약 기능 방향 결정 |
💬 주요 내용 | 출력 형식: 요약 + 키포인트 / 불필요한 설명 제거 |
✅ 결정 사항 | ‘요약 스타일 고정 + 키워드 강조’ 방식 채택 |
🗂️ 다음 액션 | A - 시나리오 수정, B - 프롬프트 수정 |
✅ 핵심: 결정된 것만 정리해도 충분하다.
4. 🧪 실험/테스트 로그 (Google Sheet, Notion DB)
날짜 실험 항목 설정값 결과 요약 피드백 예시
5/10 | GPT 요약 실험 1 | max_token=300, temp=0.7 | 대부분 정확하나 길이 부족 | max_token 늘려야 함 |
5/12 | 요약 스타일 비교 | bullet vs paragraph | bullet 방식 선호 | bullet 유지 결정 |
✅ 핵심: 빠르게 반복하려면 실험 이력도 가볍게 정리 필요.
5. 🎯 프로젝트 타임라인 (간트차트, 캔반보드)
- Notion 타임라인 뷰 or Trello, Jira 등 활용
- 주별로 큰 흐름만 잡기
- 아이디어 스케치
- GPT 테스트
- 프론트 UI 연결
- 사용자 피드백 반영
- MVP 배포
✅ 핵심: 일정보다 흐름을 공유하는 도구로 활용한다.
🔄 문서화를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3줄요약
- 모든 걸 정리하려 하지 말고, 핵심만 남긴다.
- 문서는 ‘팀이 이해할 수 있도록’ 쓴다. (내가 보려고 쓰는 게 아님)
- 정리 방식은 자유롭게, 흐름은 일관되게.
- 글 / 표 / 스크린샷 / 마인드맵 등 도구는 다양하게
- 하지만 '항상 요약 → 결과 → 다음 액션' 구조로
AI 팀 프로젝트에서는
“나 혼자 잘 만들자”보다 “같이 잘 만들자”가 더 중요하다.
그 시작은 ‘문서화’가 아니라 ‘공유를 위한 기록 습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