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 시작하기(4)
라이트 학습 맵으로 EOL 플레이그라운드 맵을 사용하려고 하였지만 버전이 오래되어 찾기 어려워 라이트 학습에 딱 맞아 보이는 버츄얼 공연장 맵을 가져왔다
오늘 알아보기
1. 버츄얼 공연장 맵을 사용하여 여러 타입의 라이트 사용 및 기타 세팅 알아보기
버츄얼 공연장 맵을 사용하여 여러 타입의 라이트 사용 및 기타 세팅 알아보기
EOL 플레이그라운드 맵을 찾기 어려워 가져온 버츄얼 공연장 맵이다 이번에는 이 맵을 통해 여러 라이트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먼저 전체 광원이 내보내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편집의 프로젝트 세팅에 들어가 준다
렌더링 메뉴의 다이내믹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메서드를 조절하면 빛의 화려함을 조절할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전체 빛의 강도메뉴와 라이트 컬러 메뉴를 통해 빛의 강도와 라이트 컬러를 조절할수 있지만 적용해보면 빛의 강도가 바뀌였다가 다시 돌아온다
이전에 맵의 광원을 온오프 할수 있었던 메뉴에 들어가 노출의 게임 세팅 체크를 해제해주면 빛의 강도를 절대값으로 조절하여 확인할수 있다
전체 라이트의 색감을 조절할수 있는 메뉴이다
프로젝트 단위로 노출을 조절할수 있는 메뉴이다
PostProcessVolume 조명을 만들고 무한 규모를 선택하면 맵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조명을 만들수 있다
무한 규모를 설정한 PostProcessVolume 조명의 강도와 라이트 컬러를 조절하면 그림과 같이 맵 전체에 영향을 주는 조명을 만들수 있다
간단히 조명을 생성 해보고 주로 맵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트 옵션을 조정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원래 사용할 예정이었던 EOL 플레이그라운드 맵을 사용하지 못했지만 조명을 공부하기에 더 나은 맵을 찾아 큰 지장 없이 공부 할수 있었다 다음 시간에는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조명을 직접 세팅하고 블루 프린트로 작업하는 방법을 살짝 맛보려고 한다
내가 원하는 조명을 직접 만들어보고 조정해보면 이미 누군가가 만들어놓은 좋은 프리셋이 많은것 같다 실제 맵을 만들 때에도 세세한 조명 하나하나 조정하지 않고 프리셋을 사용하는 것이 이로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