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언리얼 엔진을 공부하면서 정확히 알고 넘어가지 않아 힘들었던 용어들을 정리하면서 앞으로 더 잘 이해하고 사용할수 있기 위해 용어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프로퍼티
무버블
렉트 라이트
루멘
스태틱 메시
아웃 라이너
언릿(unlit)
오버라이드
머티리얼
머티리얼 인스턴스 텍스처
메시
무엇인가?
프로퍼티 (Property)
3D 모델이나 씬에 적용되는 속성 또는 특성
색상, 위치, 크기, 질감, 투명도 등 다양한 프로퍼티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모델의 모양과 외관을 조정할 수 있음
프로퍼티는 개별적으로 설정하거나, 그룹화하여 함께 설정이 가능함
2. 무버블 (Movable)
3D 모델이 이동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퍼티
True로 설정하면 모델을 이동, 회전, 크기 조정 등을 할 수 있으며, False로 설정하면 모델 고정가능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제작 시 모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됨
3. 렉트 라이트 (Rect Light)
직사각형 형태의 조명
그림자를 만들고, 모델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데 사용
빛의 방향, 색상, 강도 등을 조정 가능
실내 장면이나 야외 장면에서 다양한 효과를 연출하는 데 활용
4. 루멘 (Lumen)
광원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
1루멘은 1제곱미터당 1캔들라의 밝기
광원의 강도를 비교하고 조절하는 데 사용됨
씬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모델의 디테일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5. 스태틱 메시 (Static Mesh)
정적 3D 모델을 의미
변형되지 않고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며, 게임이나 시뮬레이션에서 배경, 건물, 가구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됨
움직이는 모델에 비해 연산 비용이 적고, 씬의 안정성을 유지함
6. 아웃 라이너 (Outliner)
3D 씬에 존재하는 모든 요소를 계층 구조로 표시하는 패널
모델, 메시, 조명, 애니메이션 등을 쉽게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씬 구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됨
복잡한 씬에서 원하는 요소를 빠르게 찾고 조작하는 데 효과적임
7. 언릿(unlit)
조명이 적용되지 않는 3D 모델을 의미
모델 자체의 색상만 표시되며, 씬의 조명에 영향을 받지 않음
특정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됨
예를 들어, 로고나 UI 요소 등 조명이 필요하지 않은 모델에 적용할 수 있음
8. 오버라이드 (Override)
기본 설정을 무시하고 특정 값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함
예를 들어, 모델의 기본 색상이 흰색이지만, 특정 부분만 빨간색으로 오버라이드할 수 있음
씬의 특정 요소를 강조하거나, 원하는 효과를 연출하는 데 사용됨
9. 머티리얼 (Material)
3D 모델의 표면 속성을 정의하는 데이터
색상, 질감, 투명도, 반사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모델의 외관을 현실적으로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BR (Physically Based Rendering) 방식을 사용하여 조명과의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음
-PBR (Physically Based Rendering)은 3D 그래픽에서 현실 세계의 물리 법칙을 기반으로 조명과 매테리얼을 표현하는 렌더링 방식
10. 머티리얼 인스턴스 텍스처 (Material Instance Texture)
기존 머티리얼을 기반으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텍스처를 변경하는 기능
기본 머티리얼의 속성을 유지하면서, 텍스처만 변경하여 다양한 버전의 모델을 만들 수 있음
게임이나 시뮬레이션에서 모델의 외관을 빠르고 쉽게 변경하는 데 사용됨
11. 메시 (Mesh)
3D 모델을 구성하는 꼭짓점, 선, 면으로 이루어진 구조
모델의 형태를 정의하며, 텍스처, 색상, 조명 등을 적용하는 기반이 됨
고해상도 메시는 더욱 사실적인 모델을 표현할 수 있지만, 연산 비용이 높아질 수 있음
블루프린트 단축키 정리하기 (1) | 2024.06.29 |
---|---|
언리얼엔진 시작하기 (5) (0) | 2024.06.08 |
언리얼 엔진 시작하기(4) (0) | 2024.05.18 |
언리얼 엔진 5.4 업데이트 용어 정리하기 (1) | 2024.05.04 |
언리얼 엔진 시작하기(3) (2) | 2024.03.30 |